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keras
- GitHub
- Numpy
- pandas
- Button
- E-P1
- pycharm
- DFS
- dataframe
- mean
- synology
- SciPy
- Lotto
- 알고리즘
- GT-S80
- pip
- mariadb
- Python
- RNN
- index
- install
- 삼성소프트웨어멤버십
- CNN
- LSTM
- javascript
- ipad
- Series
- SPL
- Splunk
- imread
- Today
- Total
목록잠토네 잠수함 (493)
잠토의 잠망경
여름 박학인데 아직 방학 같지 않네요. ^^ 역쉬 계절학기를 들어서 그런가 봅니다. 그래서 마음 잡고 토익 공부나 하렵니다. 목표는 990이고요. 아직 초반이라 성적은 딱 평균 성적입니다. 그래도 자체적인 판단으로 보건데 단어만 조금 다듬고 문제 푸는 노하우만 쌓이면 8월 시험에는 문난하게 맞지 않을까 생각입니다. -어렵게 공부해야 깊이 남는다-는 말처럼 어렵게 공부하렵니다. ^^
올 새해 벽두부터 준비하던 Project로 SSM에 지원하였습니다. 처음 계획했던거에 비해 많은 부분에서 차이를 보이지만 그래도 속시원하네요.^^ 몇 일 밤을 새우면서 이일에 매달렸고 거기다 시력도 나빠져서 앞으로 살면서 가장 기억에 남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보다 나은 미래를 위해서 현재라는 과거에 의미를 두지 말고 열심히 뛰겠습니다. 부디 서류도 통과 면접도 통과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출처: http://www.secmem.org/
http://hulryung.tistory.com/68 http://www.simtec.co.uk/products/SWLINUX/files/booting_article.html
Win32 API에서는 File의 내용을 읽고 쓸때 CreateFile을 우선 사용하여 File의 HANDLE을 얻게 된다. 이때 CreateFile() 함수의 첫인자인 FileName은 파일의 완전경로를 의미하며 이 완전경로는 C:\\를 기준으로 하는 절대 경로 이다. 그리고 \\을 붙여서 쓸경우 C:을 쓴것과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file의 위치는 c:\에 있다. ReadFile은 보는 바와 같이 정의 되어 있다. WriteFile은 ReadFile과 거의 같은 느낌이다. 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
이 문서는 arm기준으로 설명이된것은 아니지만 참고할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각 명령어가 실행되는 상황에서 발생되는 경의 수를 나타낸것으로 중요한 자료라 생각됩니다.
몇일동안 윈도우 프로그래밍을 봤습니다. 이유는 바로 이책 때문인데요. 보다 보니 여러군데서 막히더군요. 대충대충 공부한 티를 막냈습니다. 특히 동적라이브러리에서 심각하게 해매였는데요. 바로 이책들로 부족한 부분을 매웠습니다. 우선 윤성우님 책을 보고 api정복을 봤는데요. 역쉬 두책은 레퍼런스로 끼고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 다시금 일어나더군요. 우선 해킹에 관한 책을 보면서 시스템 책을 보니 재미도 있고 동기부여도 되서 보기 좋은듯합니다. 우선 처음 소개한 책을 요번주안에 보고 다음주에는 밑의 책을 봐야겠습니다. amazon에서 별 5개 받은 유명한 책인데요. 원서를 볼까하다가 요즘 시간도 없고해서 번역서를 보려고합니다.^^